캔들 패턴 기초 - 캔들의 생성 원리 [Candlestick Pattern]

기술적분석의 기본이 되는 캔들스틱에 대한 이해, 시간에 따른 캔들의 생성 과정과 원리. 기초적인 캔들 유형별 해석 방법 소개. 캔들을 통한 지지와 저항 활용법과 .추가적인 코멘트
thumbnail candlestick Candlestick Pattern

캔들차트는 시간 프레임에 대한 가격 데이터를 여러 단일 막대로 모아 놓은 하나의 기술적 도구입니다. 
캔들은 크게 시가, 종가, 고가 저가로 구성되며 시가는 그 날 주가가 시작된 가격을 나타내고 종가는 그 날 마지막으로 거래된 주가를 나타냅니다.  고가는 그날 최고가격을 나타내고 저가는 그 날 최저가격을 나타냅니다.

Table of Contents

캔들 패턴 기초 - 캔들의 생성 원리 [Candlestick Pattern]  

캔들의 생성 원리

이미 알려진 캔들 패턴에는 수 많은 종류와 활용법이 있습니다. 그 많은 종류를 다 외우기란 이제 트레이딩을 막 접하는 초심자에겐 수학 공식 만큼이나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간단한 캔들의 생성 원리를 알고 나면 많은 종류의 캔들패턴을 외우지 않더라도 자연스레 캔들의 활용법이 익숙해 질 것 입니다. 

시간과 캔들의 변화와 움직임
시간에 따른 캔들의 움직임

하나의 양봉캔들과 음봉캔들이 생성되는 과정은 위 그림과 같습니다. 그 결과로 캔들의 몸통 부분(색칠된 곳) 과 꼬리 부분(막대기)로 나뉘게 됩니다.

  • 양봉캔들 : 시가 -> 저가 -> 고가 -> 종가 ( 시가보다 종가가 높은 위치에서 마감)
  • 음봉캔들 :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 ( 시가보다 종가가 낮은 위치에서 마감)

양봉 캔들은 시간 단위 동안 매도보다 매수세가 강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음봉 캔들은 시간 단위 동안 매수보다 매도세가 강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역망치형 캔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움직임
역망치형 캔들의 움직임

캔들의 몸통 부분과 더불어 꼬리 부분 역시 추세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몸통부분에 비하여 윗 꼬리가 길게 형성된 캔들은 매수보다 매도세가 강했다는것을 의미하며

망치형 캔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움직임
망치형 캔들의 움직임

몸통부분에 비하여 아래 꼬리가 길게 형성된 캔들은 매도보다 매수세가 강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캔들을 활용한 매매방법은 캔들의 몸통뿐 아니라 꼬리도 활용하여 현재 추세를 파악해야 하며 단일 캔들로 파악하기 보단 이전 캔들과의 관계 혹은 캔들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추세를 파악 해야 합니다.

캔들이 생성되는 과정
단일 캔들이 만들어 지는 과정

1H 단위의 단일 캔들 2개가  2H 단일 캔들로 만들어지는 과정입니다.

위 1H 캔들 패턴은 "하락 장악형 캔들"의 패턴입니다. 이전 양봉 캔들의 몸통을 전부 감싸는 장대음봉이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그 결과 2H 단위의 단일 캔들에서 매도세가 강함을 나타내는 "약세 핀바 형 캔들" 이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캔들이 모일수록, 높은 프레임의 캔들일수록 캔들 패턴의 신뢰도는 높아집니다.

번외 : 캔들의 꼬리를 활용한 지지와 저항 활용

candlestick-support candlestick-resistance.webp

과거 긴 꼬리가 형성 되었다는 것은 꼬리가 형성 된 지점의 매도세 혹은 매수세가 강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채널 기법이나 지지와 저항 레벨을 활용한 트레이딩 전략은 이전 캔들에서 꼬리가 발생된 구간을 의미 있는 지점으로 보고 채널을 작도 하거나 저항 레벨에서의 트레이딩 전략을 세우는 것을 말합니다.

위 두 예시를 보면 긴 꼬리가 형성 되었던 지점 부근에서 이전 수준의 반등이나 하락은 아니지만 분명히 다시 한번 저항이나 지지를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저항이나 지지를 받았던 구간을 넘어선다면 어떻게 될까요?

지지와 저항이 바뀐 모습
candlestick e.g.

저항을 받았던 구간은 캔들의 아래 꼬리가 달리는 지지 구간으로 바뀌게 되며 추세를 강하게 이어나갑니다.  이 구간에서  break out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짧은 SL을 설정한 돌파 매매)
반대로 지지를 지속적으로 받았던 구간은 저항 레벨로 바뀌게 되면서 하락세가 가속화 됩니다.

Additional comments

캔들 패턴을 활용하여 트레이딩 전략에 사용하는 방법은 가장 클래식한 기법이기도 하면서 현재까지도 많은 트레이더들이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캔들의 원리를 이해한다면 많은 종류의 캔들 패턴을 외우지 않아도 캔들을 활용한 트레이딩에 금세 익숙해 질 수 있으며 차후 다양한 캔들패턴들을 접하게 되었을 때 보다 쉽게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