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어트 파동 이론 - 조정 파동 Corrective waves [Elliott Wave]

엘리엇 파동 이론. 조정(Corrective Wave)파동의 종류와 설명. 1. 지그재그파동, 2. 플렛파동, 3. 트라이앵글 패턴, 4. 복합형패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설명.
thumbnail corrective waves 조정 파동

엘리엇 파동을 잠시 접어두고 마켓에서의 조정이라 불리는 매도세는 왜 발생되는 것일까요.

간단한 시장의 원리는 수요와 공급에 법칙에 따라 수요보다 공급이 많기 때문에 시장가격의 하락이 발생하게 됩니다. 와이코프 이론을 잠시 빗대어 보면 분산 과정에서 컴포지트맨이 차익실현을 하게 되고 그 결과로 하락 추세로 접어들게 됩니다.

시장이 상승국면에서 하락국면으로 접어들게 되면 깊은(dip) 조정을 주겠지만 상승추세에서도 작은 규모든 큰 규모든 조정은 발생하게 됩니다.(엘리엇 파동의 2파와 4파)

매도세가 발생되는 원인에는 수많은 원인(시장에서의 이슈, 고점에서의 불안감, 차익실현 등등) 이 있겠지만 시장은 다양한 부류의 트레이더들에 의해 만들어 집니다. (스윙트레이더, 스켈퍼, 모멘컴 트레이더, 등등 ) 각각의 다른 성향을 지닌 트레이더들은 어느 구간에서 차익 실현을 할 것인지 또 이 트레이더들의 대부분이 차익실현을 원하는 구간인지 이런 시장에서의 복합적인 움직임을 먼저 생각해 보는것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조정파동을 세부적으로도 나누어 놨지만 시장이 강세 흐름을 보이는 구간에선 C파동이 일반적인 수준만큼 내려가지 않고 상승하는 경우도 있으며 약세 흐름을 보이는 구간에선 B파동이 일반적인 반등 수준에 못 미치고 C파동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을 이제 입문하신 분이시라면 이런 세세한 구분보다 시장에 흐름에 맞게 전반적으로 이해함에 있어 가벼운 마음으로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엘리어트 파동 이론 - 조정 파동 Corrective waves [Elliott Wave]

지그재그형 Zig-Zag (5-3-5)

조정파동 강세, 약세 지그재그형
zigzag correciton
  • 기본적인 지그재그 형태는 A-B-C(5-3-5) 3파로 이루어진 조정 패턴입니다.
  • A와 C파는 5개로 이루어진 충격파이고 B파는 3파로 이루어진 조정파 입니다.
  • B파의 고점(저점)은 A파의 시작점 보다 낮습니다.

위에 그림과 같이 표준적인 형태 이외에도 A와 C파 비율 관계에 따라 변형된 지그재그의 형태로 불완전(절단된) 지그재그, 연장된 지그재그형으로 구분 짓기도 합니다.

mastering elliott waves' - glenn neely의 zigzag 피보나치 비율
지그재그 패턴 ('mastering elliott waves' - glenn neely)
('mastering elliott waves' - glenn neely) 지그재그 패턴 채널 관계
지그재그 패턴 채널 관계 ('mastering elliott waves' - glenn neely)

실제 트레이딩에 있어서 조정파동으로 5파 이후 3파로 반등을 했다면 C파를 예상하며 B구간에서 매도 포지션을 가져가는 전략은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C파가 일반형이 될지 연장형이 될지는 패턴이 다 나온 뒤 구분 짓는 것이기 때문에 먼저 타겟 포인트를 정하기 보다 매물대, 추세선, 마켓의 상황등을 고려하여 타겟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그재그 패턴은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이중, 삼중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Double zigzag, Triple zigzag) 

비트코인에서 삼중 지그재그는 자주 등장하지 않지만 이중 지그재그는 자주 보여주는 패턴입니다. 

Double zigzag의 패턴 모습 WXY
Double zigzag

각 지그재그형 패턴 중간에 3파로 이루어진 X파가 나타나면서 다시 한번 지그재그 패턴이 나타나는 이중 지그재그 패턴입니다.

앞으로 나오게 될 복합 조정 패턴의 기호는 WXY(XY)로 표현하겠습니다. 
W(ABC)-X -Y(ABC)


플렛형 flat (3-3-5) 

플렛 조정파동의 구조
flat correction

플렛형은 하위 파동이 3-3-5로 이루어진 조정파동 입니다.
지그재그형의 5파와 달리 완전히 하방으로 전개할 힘이 부족하여 나타나며 첫 번째 작용하동이 3파로 나타납니다. 플렛형은 대게 지그재그형보다 앞선 충격파동을 적게 되돌립니다.

플렛 조정도 B파와 C파의 비율 관계에 따라 세부적으로 유동(running)플렛, 확장(expanded)플렛 형으로 구분 짓기도 합니다.

플렛 조정파동의 3가지 유형
flat pattern

삼각형 Triangle (3-3-3-3-3) 

3-3-3-3-3 진행의 트라이앵글 패턴
triangle pattern
  • 삼각형 패턴은 힘의 균형을 반영하며 대게 거래량과 변동성 감소를 수반하는 횡보 상태에서 나타납니다.
  • 삼각형 패턴은 3-3-3-3-3 내부 파동을 지니며. ABCDE로 표기합니다.
  • 일반적으로 4파와 B 파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삼각형 파동에는 수렴형과 확장형의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수렴형 확장형 삼각수렴 패턴
Triangles pattern
다양한 트라이앵글 패턴

수렴형과 확장형 패턴의 상승추세와 하락 추세에서 발생되는 변형 들입니다.


복합형 (W-X-Y, W-X-Y-X-Z) 

위의 이중 지그재그형에서 한번 언급을 드렸지만 시장은 항상 간단한 패턴만을 형성 하진 않습니다. 종종 구조는 복잡한 형태를 나타냅니다. 조정파동에서 이런 구조를 복합형으로 구분하며 WXY, WXYXZ로 표기합니다. 

W(ABC) - X(ANY 3)- Y(ABC or ABCDE) 
W(ABC) - X(ANY 3)- Y(ABC) - X(ANY 3) - Z (ABC or ABCED)

복합형 파동
복합형 조정파동의 유형

두 개 세개의 플렛형이 두번 세번 연달아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대게 복합형 파동은 교대 하는 양상을 뜁니다.

플렛 파동 - X - 삼각수렴으로 이어지는 이중 구조
Double combination
삼중으로 이어지는 복합형 파동동
triple three
  • 복합형 파동은 대게 수평적임 움직임을 나타내며 진행됩니다.
  • 하나 이상의 지그재그 패턴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하나 이상의 삼각형 조정 패턴이 나타나지 않으며 복합조정 마지막에 나타납니다.

Additional comments

조정파동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포스팅을 했지만 실제 하락추세에서 앞으로의 파동을 예상하며 카운팅을 하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카운팅을 하더라도 예상처럼 흘러가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합니다.​

'엘리엇 파동이론 마스터하기'의 저자 글렌 닐리도 책 서두에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엘리엇 파동이론을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능성에 대해 열린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시장분석을 시작할 때 특정한 시나리오를 가정해서는 안 되며, 개인적인 견해를 정당화하도록 파동을 조작해서도 안 된다. 오직 신중하게 이루어진 파동 분석을 통해서만 결론을 이끌어내야 한다. 또한 낙관주의나 비관주의 같은 모든 충동적인 감정들을 피해야 한다. 모든 분석 기법들이 정확하게 적용된다면, 시장의 움직임에 대해 추측할 필요가 없다. 다만 완성된 패턴들을 통해 가격이 언제 어느 수준까지 도달할 것인가를 알아차리기만 하면 된다.…

이렇듯 한쪽으로 편향된 카운팅을 하기보단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카운팅을 생각해 보는 것은 초심자에게 있어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다양한 카운팅에 앞 서 오류가 없는 카운팅을 하기 까지도 많은 훈련과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