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ing Rate (펀딩비)의 활용 -비트코인 보조지표 전략

비트코인의 기술적 분석에서 활용되어 질 수 있는 Funding Rate(펀딩비)에 관한 소개와 실전 매매에 사용 할 수 있는 활용법. 번외: Funding rate 전략에 관한 개인적인 코멘트
5 min read
thumbnail funding rate

Funding Rate는 선물(코인 대부분 영구 계약) 시장과 현물 가격의 차이에 따라 Long 혹은 Short 포지션 트레이더에게 지불하거나 받는 정기적인 비용입니다. 두 시장의 가격차이를 방지하며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확보하는 메커니즘입니다.거래소에서 정해 놓은 일정한 시간마다(대부분 8시간) 펀딩 비용을 지불하거나 받습니다.

  • Funding rate 가 양수(+)일 경우 Long 포지션이 Short 포지션에게 펀딩 비용을 지불하며
  • Funding rate 가 음수(-)일 경우 Short 포지션이 Long 포지션에게 펀딩 비용을 지불합니다.

Table of Contents

Funding Rate (펀딩비)의 활용 -비트코인 보조지표 전략 [Indicators]  

Funding Rate 보조지표의 활용

Funding Rate는 시장의 심리적인 측면을 활용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Funding rate가 양수 일 경우 시장은 강세 전망을 예측 할 수 있으며 , 음수 일 경우 약세 전망을 예측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 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Funding Rate가 양수이고 값이 증가 할수록 시장은 긍정적으로 나아갈까요?
Long 포지션은 펀딩피 를 일정 시간마다 지불해야 하는 부담이 있음에도 말이죠.

Bitcoin BTCUSD, 1D funding rate 가격과 fundiang rate 가 같이 상승함
BTCUSD, 1D funding rate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높은 타임 프레임으로 보았을 때 현재까지 비트코인의 Funding Rate는 값이 증가 할수록 사람들의 긍정적인 심리를 반영하듯 시장은 강세 시장을 나타내며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해왔습니다.

주목해야 할 구간은 Funding rate 값이 더 이상 증가 하지 않는 이후의 구간입니다.

Bitcoin BTCUSD, 1D funding rate 가격과 fundiang rate 의 다이버전스 형성
BTCUSD, 1D funding rate

Funding Rate은 여전히 양수값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전 구간에 비해 더 이상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가격과 반대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의 구매 심리가 약해지는 구간이라고 볼 수 있으며 추세 전환을 가능성에 대해 예상해 볼 수 있는 구간 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이버전스와 같은 맥락 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Funding Rate값이 양수값(+)을 나타낸다고 시장의 상황을 긍적적으로 보기보단 Funding rate의 변화와 흐름에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눈치채신 분도 있지만 여기서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이 발견됩니다. 

Funding Rate 지표 전략
BTCUSD, 12H funding rate

프레임을 한 단계 낮춰 보았을 때 Funding Rate 값이 음수값(-) 혹은 0에 가까워 지는 구간에서의 변화 입니다.

상승추세에선 Funding Rate값이 음수값을 나타내거나 혹은 0에 가까워질 경우 시장은 약세국면으로 접어들기 보단 오히려 매수 타점에 가까울 정도로 상승렐리를 이어나갔으며 

하락 추세에선 높은 수준의 반등이 나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Funding Rate 지표를 활용하여 음수값 일 경우 단기적인 거래(혹은 추세 확인 후 장기거래) 는 유효하다고 생각 합니다.

funding rate로 다음 움직임을 예측
BTCUSD, 12H funding rate

앞선 구간에서의 Funding rate 변화를 바탕으로 이후에 어떤 방식으로 매수 전략을 가져갈지 생각해 본다면 이전 구간의 펀딩 값을 넘어선 이후에 (추세의 전환 이후) 다시 Funding rate 가 0에 가까워지거나 (-)로 내려갔을  구간을 주목한다면 보다 안전적인 매수 거래 전략을 가져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Funding Rate 보는 곳.

Funding Rate를 볼 수 있는 곳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글레스노드(Glassnode) 나 크립토퀀트(CryptoQuant)처럼 온체인 데이터 기반 정보 사이트엔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기본 정보를 보더라도 가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귀찮으신 분들은 아래 coinalyze에서도 funding rate의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coinalyze.net 설명
coinalyze.net
   
  1. 찾기로 보고 싶은 코인과 거래소를 검색 (btc, 거래소는 대부분 빗파를 주로 보는 편입니다)
  2. 지표에서 funding rate 를 검색하시고 aggregated funding rate (집계된 펀딩 레이트)를 선택하시면 하단 지표탭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번외 : Funding Fee(펀딩피) 전략

이 부분은 트레이더 성향에 따라 의견이 다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임을 먼저 밝히는 바입니다.

Funding Rate 가 높은 구간 (예를들면 1.0 이상 구간) 에서 숏 포지션을 진입하여 펀딩피를 시간마다 받는 전략인데 대부분 이런 구간에서는 모든 지표가 과열 양상을 나타내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론 Funding Fee를 목적으로 전략을 수립하는건 상당히 리스크가 높은 위험한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btc funding rate
BTCUSD, 12H funding rate

Funding Rate가 1.0 이상 구간에서의 비트코인의 변화입니다.

단기적인 거래에서 Funding Fee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정산되는 (8시간마다) 시간에 맞춰서 거래를 해야 하며 장기적인 거래라면 추세와 반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역시 리스크가 높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Funding Fee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장기적인 거래보다 단기적인 거래에 주목해야 하고 이 역시 손실을 발생 시키지 않을 정확한 구간에서의 거래가 필요합니다. (거래 수수료 + 진입, 청산 타점) Funding Fee를 전략은 전통적인 트레이딩 보다 수익률도 낮으며 정확한 TP와 SL을 정하기 어렵습니다.

Funding Fee가 때론 유동적으로 변화화하지만 Funding Fee를 목적으로 한 거래는 거래의 한계가 분명하며 리스크 역시 높습니다.

Comment

Funding Rate에 관한 개인적인 생각과 활용 방법을 포스팅 했지만 한가지 지표에 의존하며 트레이딩 전략을 설정 하는 것은 위험 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전통적인 보조지표 혹은 온체인데이터 와 더불어 트레이딩 전략을 설정한다면 좀 더 나은 거래 전략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이전에 포스팅한 -Pi cycle top 과 funding rate를 활용해 매도 타점 잡기)

관심 있을 만한 글

  • 누적분포 (accumulation, distribution)차트를 선행하는 지표에는 거래량이 있습니다. 거래량을 동반하는 보조지표 중 대표적인 지표에는 OBV와 누적분포(A/D) 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document.addEvent…
  • MACD오늘날의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 캔들과 더불어 가장 인기 있는 보조지표를 이야기한다면 RSI, Stochastic,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일 것입니다. 그중 3개의 EMA(지수 이동 평균 9-12-26 ) 을 기반으로 하는 MACD에 관한 내용입니…
  • 일목균형표는 1935년 일목산인(一目山人)이 미야코신문사 재직중 증권시황란 작성을 위해 개발 한 기법으로 봉차트 분석법, 사께다5법, 엘리어트 파동론, 피보나치, MA오실레이터, 패턴분석, ROC 개념 등이 포괄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복합추세예측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수십년 전 만들어진 지표이지만 현재에도 많은 트레…
  • Divergence 마켓에서 거래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추세 추종 매매 와 반전(역 추세) 매매. 하지만 반전 매매는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시장의 반전을 기대하며 배팅을 시도하지만 시장의 추세는 변화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장에서 반전이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은 어떻게 …
  • Volume거래량은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분석 관점에 속합니다. 그러나 단독으로 보면 제한된 정보만을 제공합니다. 즉, 거래량은 특히 가격과 함께 고려될 때 의미를 갖습니다. 가격 변동이 발생할 때 거래량의 증가 또는 감소는 트렌드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투자자들은 추세의 방향과 …
  • Volume Profile(VPVR, VRVP)(2022-07-11 업데이트 되었습니다.)"Volume"과 "VPVR"의 가장 큰 차이점은 차트의 X축 영역이 아닌 Y축 영역에 표시된다는 점에서 발생합니다.보통의 Volume은 X축 영역에 가격이 아닌 단위 시간 동안 히스토그램의 형태로 표시됩니다. 그러나 VPV…